파나소닉의 새로운 배터리, 테슬라의 주행거리 최대 100마일 증가 가능


로이터 통신의 새로운 보도에 따르면, 테슬라의 핵심 배터리 공급업체인 파나소닉은 약 2년 내에 새로운 유형의 고용량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.

이 새로운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 밀도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, 이는 전기차 가격 인하 또는 주행 거리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. 이 일본 기업은 혁신적인 무음극 배터리 설계를 개발하고 있으며, 2027년 말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용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.

파나소닉에 따르면,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배터리 용량이 25%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실제 주행 시, 배터리 팩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, 모델 Y의 주행 거리는 약 90마일(약 145km) 증가하여 롱 레인지 후륜구동 버전의 경우 최대 456 EPA 마일(약 728km)까지 증가하게 됩니다.

모델 S에 사용된 동일한 배터리는 한 번 충전으로 500마일을 주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양극 없는 혁신

이 기술 도약의 핵심은 배터리 셀 내부 구조의 기발한 재설계에 있습니다. 파나소닉이 제안하는 미래 설계에는 적어도 제조 단계에서는 기존 배터리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양극이 없습니다. 대신, 파나소닉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최초 충전 후 배터리 내부에 리튬 금속 양극을 형성합니다.

초기 구조에서 양극을 제거하면 배터리 셀 내부에 상당한 물리적 공간이 확보됩니다. 이렇게 확보된 공간은 니켈, 코발트, 알루미늄과 같이 실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물질인 활성도가 더 높은 양극 물질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배터리는 동일한 물리적 부피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에너지 밀도가 향상됩니다.

더 넓은 범위 또는 더 낮은 비용?

에너지 밀도의 획기적인 발전은 제조업체들에게 선택권을 제공합니다. 더 가볍고 비용 효율적인 배터리 팩을 선택할지, 아니면 비슷한 무게에 주행 거리는 더 긴 배터리 팩을 선택할지 말입니다. 양측의 주장이 분분하니,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
첫 번째 옵션은 무게와 비용을 줄이는 것입니다. 현재 모델과 동일한 주행 거리를 제공하면서도 더 작고 가벼운 배터리 팩은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테슬라가 고객에게 더 저렴한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입니다. 이것이 2만 5천 달러짜리 차량을 현실로 만드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.

두 번째 옵션은 주행 거리 극대화입니다. 가장 직접적인 적용 사례는 배터리의 무게와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입니다.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재 가격과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면서도 주행 거리를 90마일(약 145km)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. 테슬라의 롱 레인지 AWD 모델처럼 최대 주행 거리를 위해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차량에는 장거리 주행 차량이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더 넓은 맥락

파나소닉만이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아닙니다.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, 여러 배터리 제조업체들도 유사한 무음극 기술을 개발 중이며, 테슬라도 이에 동참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파나소닉은 새로운 설계 외에도 배터리 내 비교적 비싼 니켈 함량을 줄여 배터리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
기술적 전망은 엄청나지만, 재정 및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몇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. 이 신기술이 제조 원가 절감으로 이어질지, 아니면 테슬라와 같은 제조업체가 필요로 하는 생산 규모까지 확장 가능할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. 현재로서는 획기적인 배터리 기술 개발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입니다. 현재 셀 개발 시장에는 많은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, 가까운 미래에는 기술 발전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